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ount4

xfs_growfs 에러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is not a mounted XFS filesystem esxi 에서 서버의 디스크를 증설하였고, 그 마지막 단계에서 xfs_grow 에서 error 가 났다. 디스크 증설 도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다. $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is not a mounted XFS filesystem /dev/mapper/centos-home 이 XFS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되지 않았다는 얘기였다... cat /etc/fstab 으로 확인해보니 /dev/mapper/centos-root 가 XFS로 되어있었다. 정확한 mount 포인트가 아니였다. 정확한 mount 포인트를 설정해주어야 가능했다. centos-home 의 경우에는 마운트포인트가 '/' 였기 때문에 그 .. 2023. 10. 18.
mount: unknown filesystem type 'ntfs'. ssd mount 도중나온 error 메세지 mount: /datfs: unknown filesystem type 'ntfs'. ntfs 의 파일시스템 타입이 없다... 당연히 nfs 를 설치를 안하여 나오는 현상이였으나 순간 당황하였다... nfs 를 설치를 하자!! 아래와 같이 설치하면 된다. # 확인 명령어 rpm -qa | grep nfs # 결과값이 없을 경우 설치 # 아래 명령어로 설치할수있는 패키지 확인 yum search nfs # 그 중에 nfs-utils.x86_64 설치 (nfs-util을 설치하면 된다. 그 뒤는 각자 설정에 따라) yum install -y nfs-utils.x86_64 이후 mount 시 정상작동 된다!! 2023. 7. 28.
esxi 에서의 mount.nfs: access denied by server while mounting 에러 조치 esxi 의 경우 다른 물리적인 장비와 nfs 연결 시에 ip가 다르다. 따라서 /etc/exports 에서 esxi 에서 vm 생성시 고정 ip 가 아닌 외부로 나가는 ip로 nfs가 연결될 때 해당 error 가 난다. ( ※ No route to host 가 날 수도 있는데 이 error 도 똑같이 조치해보자) 따라서 /etc/exports 부분에 모든 ip에 대해서 허용하던지 아니면 esxi 의 물리적 nic 의 ip를 허용해주던지 해야한다. # /etc/exports # 모든 ip에 대해 허용한다. /test *(rw,no_root_squash,async) 위와 같이 esxi 가 아닌 경우에 할 수 있는 조치는 다음과 같다. 1. nfs 재기동 # nfs 재기동 systemctl restart .. 2023. 4. 4.
[리눅스 마운트 에러] bad UNC, mount error: could not resolve address for:: Unknown error (자동마운트 /etc/fstab 에러) 오늘 맞이한 에러는 bad UNC 와 mount error: could not resolve address for:: Unknown error 이렇게 두가지이다. 사실 두가지 모두 같은 에러에 해당하는 것 같다. 두가지 모두 /etc/fstab 에 적용한 뒤에 나타나는 에러이다. 이 두 가지 에러를 맞이하게 된 배경은 이렇다. SSD 가 고장나서 교체를 하였는데, 미처 /etc/fstab을 백업하지 못하였고 기억을 더듬어 다시 설정하는 와중에 생긴 에러이다. xfs, ext4, nfs 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NAS를 연결해놓은 cifs 설정에서만 나오는 에러코드였다. 확인해본 결과 맞다고 생각했던 등록방법이 아니였다... NAS를 cifs로 마운트 시켰는데, 이 경우 /etc/fstab의 등록방법은 .. 2021.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