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2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스트림이란 (stream) 스트림 (stream) 직역하면 흐르다 인데, 원래는 물이 흐르는 시냇물을 의미한다. 컴퓨터에서는 데이터의 흐름으로 말한다. 즉, 데이터가 바이트이기에 바이트의 흐름이다. 흐르기 위해서는 통로가 필요하기때문에 통로라고도 부른다. 컴퓨터에서 스트림 : 데이터의 이동 통로 혹은 바이트의 흐름 linux 에서 스트림은 network 를 연결할 때, device 를 연결할 때 process 끼리 소통할 때 사용된다. linux 는 파일로 모든 것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일에 관한 시스템 콜인 open, close, read, write 가 stream 을 다루는 함수가 된다. open 함수는 fd 값을 반환시키는데, fd가 바로 스트림이 된다. (fd 가 파일을 연결시켜주는 통로가 되기 때문에) int ope.. 2023. 7. 30.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시스템콜(system call) 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시스템 콜(System Call) 시스템 콜은 커널에게 요청하는 함수이다. 커널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때문에, 커널에게 요청해야 할 수 있는 작업들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시스템 콜 함수이다. 예) 프로세스를 생성한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스 생성은 fork 함수로 한다) 이렇게 시스템 콜 함수인 fork 함수를 사용하면 커널에게 요청을 하게 되고 커널이 그에 해당하는 작업을 해주는 것이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프로그래밍을 통해 무언가를 사용할 때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란 사용자와 소통하는 창구이다. 맨날 글로만 읽어서 소통하는 창구인지는 알겠으나 와닿는 개념이 아니라서 따로 정리를 해놔야겠다... 음.. 예를 들자면 음식점 직원 같.. 2021.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