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6

pod, container 에 접속하는 방법 (웹 브라우저로 접속) pod 나 container 에 접속하는 방법은 docker exec -it container_name /bin/bash해서 콘솔로 확인 해 볼 수 있다.그러나 tool 을 사용하여 접속 하는 방법으로는ttyd 가 있다.ttyd 는 설치를 해서 사용하게 되면 브라우저에 ip:port 를 쓰면 접속 할 수 있다.사용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https://studyheon.tistory.com/44 2025. 4. 14.
Rocky Linux 9.x에서 ttyd 설치 후 사용 방법 1. TTYD 설치ttyd 는 웹 기반 터미널 애뮬레이터라고 한다.WebSocket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브라우저와 Linux 터미널 간의 실시간 연결을 제공한다고 한다. 사용하는 이유는 docker 로 container 를 만들어서 사용할 경우에 직접 컨테이너 안을 들어가기가 어렵다.(openshift 나 기타 툴을 사용하면 모를까..) 그래서 컨테이너 안에서 잘 작동하고 있는지 터미널을 붙혀보기위해 오늘은 ttyd 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려한다.나는 Rocky Linux 9.x 에서 작업한다.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페이지에서 가져왔다. (CentOS)https://snapcraft.io/install/ttyd/centos나의 경우 Rocky  Linux 9.x 이기 때문에 yum 명령어 대신 dnf 명.. 2025. 4. 8.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스트림이란 (stream) 스트림 (stream) 직역하면 흐르다 인데, 원래는 물이 흐르는 시냇물을 의미한다. 컴퓨터에서는 데이터의 흐름으로 말한다. 즉, 데이터가 바이트이기에 바이트의 흐름이다. 흐르기 위해서는 통로가 필요하기때문에 통로라고도 부른다. 컴퓨터에서 스트림 : 데이터의 이동 통로 혹은 바이트의 흐름 linux 에서 스트림은 network 를 연결할 때, device 를 연결할 때 process 끼리 소통할 때 사용된다. linux 는 파일로 모든 것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일에 관한 시스템 콜인 open, close, read, write 가 stream 을 다루는 함수가 된다. open 함수는 fd 값을 반환시키는데, fd가 바로 스트림이 된다. (fd 가 파일을 연결시켜주는 통로가 되기 때문에) int ope.. 2023. 7. 30.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시스템콜(system call) 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시스템 콜(System Call) 시스템 콜은 커널에게 요청하는 함수이다. 커널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때문에, 커널에게 요청해야 할 수 있는 작업들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시스템 콜 함수이다. 예) 프로세스를 생성한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스 생성은 fork 함수로 한다) 이렇게 시스템 콜 함수인 fork 함수를 사용하면 커널에게 요청을 하게 되고 커널이 그에 해당하는 작업을 해주는 것이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프로그래밍을 통해 무언가를 사용할 때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란 사용자와 소통하는 창구이다. 맨날 글로만 읽어서 소통하는 창구인지는 알겠으나 와닿는 개념이 아니라서 따로 정리를 해놔야겠다... 음.. 예를 들자면 음식점 직원 같.. 2021. 2. 13.
[리눅스마스터 2급] 크론/크론탭 (cron/crontab) 크론(cron) 한마디로 예약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약된 시간에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작업인데, 우리가 서버를 켜지않아도 작업한다. 즉, 리눅스에서는 터미널이 끊어져도 작업을 한다는 것이다. 터미널이 끊어져도 작업을 한다는 것은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간다는 것이고 이것은 곧 데몬이라는 얘기가 된다. 크론탭(crontab) 크론(cron)작업을 하기 위한 설정 파일을 크론탭(crontab)이라고 한다. 크론(cron) 작업을 하려면 크론탭(crontab)에 설정해놓으면 작업을 수행한다. 설정 방법 명령어 : crontab -e 크론탭 파일이 열리면서 vi 에디터와 동일하게 편집할 수 있다. vi에디터는 문서작업을 하는 편집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i, a, I, A, o, O 를 누.. 2020. 10. 27.
[리눅스마스터 2급] 소유권(chown, chgrp) 소유권(Ownership)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소유하여 지배하는 권리를 말한다. 소유권은 `ls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데, `ls -l` 명령어를 통해 소유권이 나타나는 부분은 2개의 필드이다. [posein@www ~]$ ls -l test.txt -r--r--r-- 1 posein posein 80 Oct 4 19:45 test.txt 빨간색 posein 은 소유권을 가진 사용자 파란색 posein 은 그룹 소유권 을 나타냅니다. 이런 소유권과 관련된 명령어들 chown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 및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 사용법 chown [option] owner[:group] file(s) 옵션 -R :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디렉토리 내부의 모든 파일의 소유 권한을.. 2020.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