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 [리눅스 iconv 에러] iconv: illegal input sequence at position 5 iconv: illegal input sequence at position 5 위와 같은 에러가 나와서 당황했지만, 구글링하여 알아보았다. iconv를 사용하여 문서의 인코딩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주고 멈추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input으로 들어간 문서를 한 줄 씩 읽으면서 변환하기 때문에 깨진 글자가 들어가거나 표현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 -c 옵션을 주게 되면 중간에 에러가 날 경우 깨진 부분을 건너 뛰고 나머지는 정상적으로 변환해준다. 참고 :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dsomejuno&logNo=4009441657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2020. 10. 28. [리눅스 크론탭 에러] errors in crontab file, can't install. Do you want to retry the same edit? 크론탭 파일에서 에러가 난 것이다. 다시 한번 시도해보라는 의미이다. 크론탭 파일을 설정할 때 문법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저는 아예 문법이 틀렸지만, 혹시나 다 자신의 문법이 다 맞는다고 생각이 든다면 줄 맨 마지막에 엔터나 스페이스를 해보면 된다고한다. 문법이 안맞는다면, 크론탭에 대해 다시 한번 알아본다. 크론탭 : studyheon.tistory.com/4 [리눅스마스터 2급] 크론/크론탭 (cron/crontab) 크론(cron) 한마디로 예약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약된 시간에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작업인데, 우리가 서버를 켜지않아도 작업한다. 즉, 리눅스에서는 터미널이 끊어져도 작업을 한다 studyheon.tistory.com 맞게 작동이 된다면, 이와 같이 인스톨 되었다고 나온다. 2020. 10. 27. [리눅스마스터 2급] 크론/크론탭 (cron/crontab) 크론(cron) 한마디로 예약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약된 시간에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작업인데, 우리가 서버를 켜지않아도 작업한다. 즉, 리눅스에서는 터미널이 끊어져도 작업을 한다는 것이다. 터미널이 끊어져도 작업을 한다는 것은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간다는 것이고 이것은 곧 데몬이라는 얘기가 된다. 크론탭(crontab) 크론(cron)작업을 하기 위한 설정 파일을 크론탭(crontab)이라고 한다. 크론(cron) 작업을 하려면 크론탭(crontab)에 설정해놓으면 작업을 수행한다. 설정 방법 명령어 : crontab -e 크론탭 파일이 열리면서 vi 에디터와 동일하게 편집할 수 있다. vi에디터는 문서작업을 하는 편집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i, a, I, A, o, O 를 누.. 2020. 10. 27. [리눅스마스터 2급] 소유권(chown, chgrp) 소유권(Ownership)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소유하여 지배하는 권리를 말한다. 소유권은 `ls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데, `ls -l` 명령어를 통해 소유권이 나타나는 부분은 2개의 필드이다. [posein@www ~]$ ls -l test.txt -r--r--r-- 1 posein posein 80 Oct 4 19:45 test.txt 빨간색 posein 은 소유권을 가진 사용자 파란색 posein 은 그룹 소유권 을 나타냅니다. 이런 소유권과 관련된 명령어들 chown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 및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 사용법 chown [option] owner[:group] file(s) 옵션 -R :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디렉토리 내부의 모든 파일의 소유 권한을.. 2020. 10. 4. [IT 인프라] 1. 서버란? "개발자도 궁금한 IT 인프라"라는 책을 읽으면서 정리해봅니다. 출처 : 개발자도 궁금한 IT 인프라 / 정송화, 김영선, 전성민 지음 이 책은 글이지만 인터뷰 형태로 글이 적혀 있어서, 마치 영상을 보는 것 같이 설명합니다. 우선 저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배웠을 때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아주 단순하게, 클라이언트(client) : 서비스를 제공받는 놈 서버(server) : 서비스를 제공 하는 놈 이렇게 정의하고 있었습니다. 책에서는 인프라에서 서버는 어떤 서버의 의미를 나타내는지 알려줍니다. 인프라에서 주로 말하는 '서버' 는 '하드웨어로서의 서버'를 말한다. 즉, 'PC와 구조는 동일하나 CPU나 메모리, 디스크를 좀 더 많이 장착할 수 있어 훨씬 높은 성능과 뛰어난 안정성을 가진 장비'라고.. 2020. 9. 30.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