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러18 libc.so.6: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아예 ls, mv, cp 모든 기본명령어가 안먹혔다.... google에 검색하여 구세주같은 글을 보았다. https://sh-safer.tistory.com/249 libc.so.6 심볼릭 링크 삭제시 복구 방법 원인 및 현상 무슨 정신으로 unlink libc.so.6 를 진행하여 shared library 심볼릭링크를 끊어 버렸다 shared library를 찾지 못한다는 내용. libc.so.6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터미널까지 나 sh-safer.tistory.com 위 블로그에 있는 마지막 명령어가 먹어서 다행히도 잘 해결했다. ldconfig -l -v /lib64/libc-2.24.so 2023. 11. 16. These critical programs are missing or too old: bison glibc 를 설치하기 위하여 빌드를 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이다. bison 이 없거나 지나치게 오래되었다라는 건데... bison을 설치하여보자!! 참고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3735137/glibc-configure-error-yacc-bison-missing glibc configure error: yacc/bison missing I'm following the instructions from LFS but with a twist: I'm only following parts of Section 5 - Constructing a Temporary System to the extent that I can build my own GCC, reason .. 2023. 11. 16. sqlite 실행 시 error (sqlite3 test.dbsqlite3: /lib64/libm.so.6: version `GLIBC_2.29' not found (required by sqlite3)sqlite3: /lib64/libc.so.6: version `GLIBC_2.33' not found (required by sqlite3)sqlite3: /lib64/libc.so.6: version `GLIBC_2.34' not fou.. sqlite 설치 환경 linux version : Rocky Linux release 8.7 (Green Obsidian) kernel version : 4.18.0-425.10.1.el8_7.x86_64 sqlite 를 처음 설치하고, 테스트하려고 테스트 명령어를 날려봤다. sqlite3 test.db sqlite3 test.db 라는 명령어를 처음 수행하였으나, error 가 발생하였다. $ sqlite3 test sqlite3: /lib64/libm.so.6: version `GLIBC_2.29' not found (required by sqlite3) sqlite3: /lib64/libc.so.6: version `GLIBC_2.33' not found (required by sqlite3) s.. 2023. 11. 16. xfs_growfs 에러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is not a mounted XFS filesystem esxi 에서 서버의 디스크를 증설하였고, 그 마지막 단계에서 xfs_grow 에서 error 가 났다. 디스크 증설 도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다. $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is not a mounted XFS filesystem /dev/mapper/centos-home 이 XFS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되지 않았다는 얘기였다... cat /etc/fstab 으로 확인해보니 /dev/mapper/centos-root 가 XFS로 되어있었다. 정확한 mount 포인트가 아니였다. 정확한 mount 포인트를 설정해주어야 가능했다. centos-home 의 경우에는 마운트포인트가 '/' 였기 때문에 그 .. 2023. 10. 18. [notion] mermaid 짤림현상 notion 에서 memaid 작성 시에 짤리는 현상이 있다. 위와 같이 밑에부분이 짤리는 현상이 있다. 그럴때는 해당 영역에 `` 를 붙혀주면 된다. func_2 부분에 " " 안에 `` 를 넣어 표시해주니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2023. 8. 21. [c compile] directive writing byte into a region of size between warning 컴파일 시 warning 아래와 같은 warning 이 발생하였다. warning: ‘%s’ directive writing up to 255 bytes into a region of size between 192 and 255 [-Wformat-overflow=] 해당 warning은 버퍼오버 플로우를 방지하라는 warning 이다. 이유는 담을 변수의 사이즈가 더 작거나 같거나 할때 나타는 warning 이다. 예시로는 아래와 같은 상황이다. ex) char buf[5]; long a = 10000000; sprintf( buf, "%d", a ) 결국엔 buf의 사이즈보다 더 큰 상황이 올 것이고, 버퍼오버플로우가 날 것이다. 이 부분을 방지하는 것이다. 참고 : https://stackoverfl.. 2023. 7.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