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7 결혼 커리큘럼 (내가 준비했던 결혼에 대하여..) 필자는 최근 결혼을 하였다. 1년 이라는 준비기간을 거쳐 성공적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준비를 하다보니 너무 많은 것을 준비해야했고, 전체적인 틀을 알고 준비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글이자 나의 경험을 일기처럼 작성하고 싶었다. + 약간의 타임라인? 모두가 필자처럼 결혼준비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자의 결혼 준비가 정답은 아니다. 따라서 참고만 하면 좋을 것 같다. 양가 부모님께 첫인사를 하고 난 이후 첫 준비를 하였다. 1. 우선 예식장을 잡았다 웨딩북이라는 어플에서 예식장을 비교해보며 예약하고 돌아다녔다. 플래너가 지정이 되었고 그 플래너는 우리를 귀찮게하지 않았다. 단지 우리가 물어보는 것에만 대답해주는 플래너였다. 원하는 날짜, 그리고 원하는 지역의 웨딩홀을 돌아다닌 끝에 맘에드는 .. 2023. 11. 15. Oracle Client linux 설치해보기 (zip 파일) Oracle Client 를 처음으로 설치해보았다. 요즘에는 Oracle이 없어지는 추세이긴 하나, 그래도 DB 공부를 위하여 설치하였다. 우선 Oracle Client가 왜 필요한지부터 알아 보았다. Oracle Client 가 필요한 이유는 DB 서버에 접근하기 위함이다. 보통은 AP서버 (Application 서버) 와 DB서버(DBMS가 설치되어있는 서버) 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 Oracle Client 가 필요하다. (큰 회사일수록 AP 서버와 DB 서버는 분리되어있었다.) 필요한 이유와 DB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주 잘 정리되어있는 글을 첨부한다. 참고 : https://loosie.tistory.com/506 DB 동작과정을 이해해보자 (애플리케이션과 DB 커넥션).. 2023. 11. 1. xfs_growfs 에러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is not a mounted XFS filesystem esxi 에서 서버의 디스크를 증설하였고, 그 마지막 단계에서 xfs_grow 에서 error 가 났다. 디스크 증설 도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다. $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xfs_growfs: /dev/mapper/centos-home is not a mounted XFS filesystem /dev/mapper/centos-home 이 XFS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되지 않았다는 얘기였다... cat /etc/fstab 으로 확인해보니 /dev/mapper/centos-root 가 XFS로 되어있었다. 정확한 mount 포인트가 아니였다. 정확한 mount 포인트를 설정해주어야 가능했다. centos-home 의 경우에는 마운트포인트가 '/' 였기 때문에 그 .. 2023. 10. 18. [notion] mermaid 짤림현상 notion 에서 memaid 작성 시에 짤리는 현상이 있다. 위와 같이 밑에부분이 짤리는 현상이 있다. 그럴때는 해당 영역에 `` 를 붙혀주면 된다. func_2 부분에 " " 안에 `` 를 넣어 표시해주니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2023. 8. 21. [c compile] directive writing byte into a region of size between warning 컴파일 시 warning 아래와 같은 warning 이 발생하였다. warning: ‘%s’ directive writing up to 255 bytes into a region of size between 192 and 255 [-Wformat-overflow=] 해당 warning은 버퍼오버 플로우를 방지하라는 warning 이다. 이유는 담을 변수의 사이즈가 더 작거나 같거나 할때 나타는 warning 이다. 예시로는 아래와 같은 상황이다. ex) char buf[5]; long a = 10000000; sprintf( buf, "%d", a ) 결국엔 buf의 사이즈보다 더 큰 상황이 올 것이고, 버퍼오버플로우가 날 것이다. 이 부분을 방지하는 것이다. 참고 : https://stackoverfl.. 2023. 7. 31.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스트림이란 (stream) 스트림 (stream) 직역하면 흐르다 인데, 원래는 물이 흐르는 시냇물을 의미한다. 컴퓨터에서는 데이터의 흐름으로 말한다. 즉, 데이터가 바이트이기에 바이트의 흐름이다. 흐르기 위해서는 통로가 필요하기때문에 통로라고도 부른다. 컴퓨터에서 스트림 : 데이터의 이동 통로 혹은 바이트의 흐름 linux 에서 스트림은 network 를 연결할 때, device 를 연결할 때 process 끼리 소통할 때 사용된다. linux 는 파일로 모든 것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일에 관한 시스템 콜인 open, close, read, write 가 stream 을 다루는 함수가 된다. open 함수는 fd 값을 반환시키는데, fd가 바로 스트림이 된다. (fd 가 파일을 연결시켜주는 통로가 되기 때문에) int ope.. 2023. 7. 30. 이전 1 ··· 3 4 5 6 7 8 다음